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파이썬리스트컴프리헨션
- 자료구조
- bcrypt
- django
- 백준
- clone coding
- 자바스크립트
- clone-coding
- JavaScript
- DP
- 인증인가
- 알고리즘
- *args
- wecode
- **kwargs
- 파이썬문법
- 리스트컴프리헨션
- CSS
- 파이썬
- 파이썬입출력
- RESTfulAPI
- docker
- Python
- QuerySet
- 해시충돌
- decorator
- promise
- 인터넷 네트워크
- 코딩테스트파이썬
- 윈도우우분투듀얼부팅
- Today
- Total
목록전체 글 (63)
개발기록장

1. Modules - 파이썬에서 모듈이란? 변수나 함수, 클래스 등을 모아놓은 파이썬 파일(.py)을 모듈이라고 한다. 다른 파이썬 프로그램에서 불러와 사용할 수 있게 만든 파이썬 파일이라고도 할 수 있다. .py 확장자를 제외한 파일 명이 모듈 명이 된다. - 모듈을 사용하는 이유 재사용에 효율적 코드가 너무 커졌을 때 여러 파일로 나누어 정리 - 모듈 사용 방법 import 키워드 # import import my_module # . my_module.func1() 모듈을 사용할 때 모듈 이름을 앞에 붙여줘야 하는 이유는 파이썬이 어느 파일을 봐야 해당 변수/함수/클래스를 찾을 수 있는지 알 수 있기 때문이다. 이런 구조를 "name space"라고 한다. from import 키워드 # from ..
www.acmicpc.net/problem/11055 11055번: 가장 큰 증가 부분 수열 수열 A가 주어졌을 때, 그 수열의 증가 부분 수열 중에서 합이 가장 큰 것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 예를 들어, 수열 A = {1, 100, 2, 50, 60, 3, 5, 6, 7, 8} 인 경우에 합이 가장 큰 증가 부분 수 www.acmicpc.net 문제 수열 A가 주어졌을 때, 그 수열의 증가 부분 수열 중에서 합이 가장 큰 것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 예를 들어, 수열 A = {1, 100, 2, 50, 60, 3, 5, 6, 7, 8} 인 경우에 합이 가장 큰 증가 부분 수열은 A = {1, 100, 2, 50, 60, 3, 5, 6, 7, 8} 이고, 합은 113이다. 입력 첫째 줄에..

1. Variable length Arguments (가변 인수) 파이썬에서는 함수에서 입력값이 몇 개가 될지 모를 때을 위해 가변 인수를 제공한다. 아래 예제를 통해 알아보자. def add_many(*args): # 가변 인수는 파라미터 앞에 *을 붙인다. print(args) result = 0 for i in args: result += i return result print(add_many(1, 2, 3, 4, 5)) # 결과 >> (1, 2, 3, 4, 5) 15 위 add_many 함수처럼 입력값이 몇 개이든 상관없다. *args처럼 파라미터 이름 앞에 *을 붙이면 그 파라미터는 가변 인수로 설정되고, 출력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입력받은 모든 값을 하나의 튜플로 모아서 저장한다. ** 참고..

** 파라미터와 인수 우선 많이 혼용해서 사용되는 파라미터와 인수를 확실히 구분해보자. 파라미터(pameter, 매개변수)와 인수(arugment)는 같은 의미지만 사용해야하는 때가 다르다. 파라미터는 함수를 정의할 때 함수에 입력으로 전달된 값을 받는 변수를 의미하고 인수는 함수를 호출할 때 전달하는 입력값을 의미한다. def add(a, b): # a, b는 파라미터(=parameter, 매개변수) return a + b print(add(10, 20)) # 10, 20은 인수(=argument) 1. Argument 설정에 따른 함수 호출 - 일반적인 함수 호출 (Positional Arguments) 일반적인 함수 호출은 함수 호출 시 함수에 정의된 파라미터의 순서대로 인수를 입력해주면 된다. d..